하루루카
루카의 개발 일지
하루루카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59)
    • React (10)
    • vue.js (5)
    • javascript (6)
    • 자격증 (5)
    • 기타 (5)
    • 코딩테스트 (11)
    • 프론트 CS (15)
    • NodeJs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vuetify
  • nodejs
  • 프론트엔드
  • node
  • GithubActions
  • CI/CD
  • 11655
  • nextjs
  • react
  • socket
  • 자바스크립트
  • express
  • VUE
  • 코딩테스트
  • AWS
  • jest
  • 백준
  • vuex
  • 기술면접
  • codedeploy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하루루카

루카의 개발 일지

자격증

정보처리기사 실기 4과목 요약

2022. 5. 1. 15:07

4단원 통합구현

  1. 연계 데이터 구성
    1. 연계 요구사항 분석의 개념
      1. 서로 다른 두시스템,장치,소프트웨어를 이어주는 중계 역할을 하는 연계 시스템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과정
    2. 참고 문서
      1. 개체 정의서
        1. 개체의 타입과 관련 속성, 식별자 등의 정보를 괙관적으로 명세화한 정의성
      2. 테이블 정의서
        1. 논리 및 물리 모델링 과정에서 작성하는 설계 산출물
      3. 인터페이스 명세서
        1. 인터페이스 정의서에서 작성한 인터페이스 ID별로 송수신하는 데이터타입, 길이 등 인터페이스 항목을 상세하게 작성한다
      4. 인터페이스 명세서 구성요소(인최크시데)
        1. 인터페이스 ID : 인터페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명명 표준에 맞게 부여
        2. 최대 처리 횟수 : 단위 시간당 처리 될수 있는 해당 인터페이스 최대 수행 건수
        3. 데이터 크기 : 해당 인터페이스 1회 처리시 소요되는 데이터 평균 크기와 최대 크기
        4. 시스템 정보 : 시스템명, 업무 명, 서비스명/프로그램ID,연계방식, 담당자/연락처
        5. 데이터정보 : 번호,필드,식별자 여부, 데이터 타입, 데이터 크기, 널 허용 여부, 항목 설명,조건,매핑 규칙, 총길이,추출조건/SQL
    3. 분석절차
      1. 시스템 현황 확인
      2. 정의서 확인
      3. 체크 리스트 작성
      4. 인터뷰 및 면담
      5. 연계 요구사항 분석서 작성
    4. 연계 시스템 구성
      1. 송신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 형태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시스템
      2. 수신시스템 : 수신한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의 데이터를 수신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형식에 맞게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할수 있도록 제공해주는 시스템
      3. 중계 서버 :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연계 데이터의 송수신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5. 연계 데이터 표준화(공개종)
      1. 인터페이스 데이터 공통부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을 포함
      2. 인터페이스 데이터 개별부 : 송수신 시스템에서 업무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포함
      3. 인터페이스 데이터 종료부 : 전송 데이터의 끝을 표시하는 문자를 포함하여 종료 표시
    6. 송수신 전문 구성(공전시거 개데종)
      1. 전문 공통부(고정)
        1. 전문길이
        2. 시스템 공통
        3. 거래 공통
      2. 전문 개별부(가변)
        1. 데이터
      3. 전문 종료부(고정)
        1. 전문 종료
  2. 연계 매커니즘 정의
    1. 개념 : 응용 소프트웨어 와 연계 대상 모듈간의 데이터 연계 시 요구사항을 고려한 연계방법과 주기를 설계하기 위한 메커니즘
    2. 기능
      1.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송신시스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DB에 반영하는 수신시스템
    3. 연계 방식
      1. 직접 연계
        1. 연계 및 통합 구현이 단순하여 용이, 개발 소요 비용 및 기간이 짧음
        2. 성능이 대체로 좋음
        3. 시스템간의 결함도가 높아 시스템 변경에 민감, 암/복호화 처리 불가
      2. 간접 연계
        1. 서로 상이한 네트워크,프로토콜 연계 및 통합 가능, 인터페이스 변경시에도 장애나 오류 없이 서비스 가능
        2. 성능 저하 요소 존재, 상대적 장기간 소요
    4. 주요 연계 기술
      1. 직접 연계
        1. DB링크 : 데이터에비스에 제공하는 DB링크 객체를 이용
        2. DB연결 : 수신 시스템의 WAS에서 송싯ㄴ시스템 DB로 연결하는 DB커넥션 풀을 생성
        3. API/OPEN API : 송신 시스템의 DB에서 데이터를 읽어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4. JDBC : JDBC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송신시스템 DB와 연결
        5. 하이퍼링크 : 현재 페이지에서 다른 부분으로 가거나, 전혀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게 해주는 속성
      2. 간접 연계
        1. 연계 솔루션(EAI) :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정보 전달,연게,통합을 가능하게 해주는 솔루션
        2. Web Service/ESB : 웹 서비스가 설명된 WSDL과 SOAP프로토콜을 이용한 시스템 연계
        3. 소켓 : 소켓을 생성하여 포트를 할당하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연결하여 통신
    5.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1. 송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코드를 수신 시스템에서 전송해야 할 경우 수신 시스템의 코드로 매핑 및 변환하고, 데이터 타입등이 상이할경우 데이터 변환작업 수행
    6.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 생성
      1. 연계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또는 파일 형식으로 생성하고, 테이블과 파일 형식 여부는 직/간접 연계에 따라 선택할수있다
    7. 로그 기록
      1. 일련의 과정에 대한 결과를 로그 테이블에 기록 및 관리 한다
    8. 전송 단계
      1. 설정된 전송 형식으로 변환된 후 연계 서버에서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9. 운영 DB에 연계 데이터 반영
      1. 수신된 데이터를 운영 DB에 반영하는 과정으로 변환 프로그램을 별도로 구현한다
  3. 내외부 연계 모듈 구현
    1. 연계 모듈 기능 구현
      1. 개발하고자 하는 응용 소프트웨어와 연계 모듈 간의 세부 설계서를 확인하여 일관되고 정형화된 연계 기능을 구현할수 있다
    2. EAI방식
      1.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를 전달,연계,통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솔루션
    3. EAI 구성요소
      1. EAI 플랫폼 : 이기종 시스템 간 애플리케이션 상호 운영, 메시지 큐와 트랜잭션 미들웨어 기능 수행
      2. 어댑터 : 다양한 패키지 애플리케이션 및 기업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는 EAI의 핵심 장치로 데이터 입출력 도구
      3. 브로커 : 데이터 포맷과 코드를 변환하는 솔루션
      4. 메시지큐 : 비동기 메시지를 사용하는 다른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
      5. 비즈니스워크플로우 : 미리 정의된 기업의 비즈니스 Workflow에 따라 업무를 처리하는 기능
    4. EAI 구축 유형
      1. 포인트 투 포인트 : 가장 기초적인 애플리케이션 통항방법, 솔루션을 구매하지 않고 개발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도 통합 가능
      2. 허브 앤 스포크 : 단일한 접점의 허브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 집중식 방식
      3. 메시지 버스 : 애플리케이션 사이 미들에워를 두어 연계하는 미들웨어 통합 방식
      4. 하이브리드 : 그룹 내는 허브앤 스포크, 그룹 간에는 메세지 버스 방식을 사용한 통합 방식
  4. ESB 방식
    1. 개념 : 기업에서 운여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들 간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 운영할수 있도록 서비스 중심의 통합을 지양하는 아키텍처
      1. ESB는 미들웨어를 중심으로 각각 프로토콜이 호환할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통합을 느슨한 결합방식으로 지원하는 방식
    2. ESB특징
      1. 컴포넌트화된 논리적 집합으로 묶는 핵심 미들웨어, 비즈니스 프로세스 환경에 맞게 설계 및 전개할수있는 아키텍쳐 패턴
  5. EAI/ESB 방식 연계 모듈 환경 구축 절차
    1. 계정 생성, 테이블 생성, 프로그램 구현 절차
  6. 웹서비스 방식
    1. 네트워크에 분산된 정보를 서비스 형태로 개방하여 표준화된 방식으로 공유하는 기술,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개념을 실현하는 대표적인 기술이다
    2. 유형
      1. SOAP : HTTP,HTTPS ,SMTP 등을 사용하는 XML 기반의 메시지를 네트워크 상태에서 교환하는 프로토콜,원결 프로시저 호출을 하는 메시지 패턴을 사요
      2. WSDL : 웹 서비스명,제공 위치, 메세지 포맷, 프로토콜 정보등 웹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가 기술된 XML형식으로 구현되어있는 언어
      3. UDDI : 웹 서비스에 대한 정보인 WSDL을 등록하고 검색하기 위한 저장소로 공개적으로 접근,검색이 가능한 레지스트리이자 표준이다
  7. IPC방식
    1. Inter-Process Communcation
    2. 운영체제에서 프로세스간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기술
    3. 주요 기법
      1. 메시지 큐 : 메시지 도는 패킷 단위로 동작하여 프로세스간 통신
      2. 공유메모리 : 한프로레스의 일부분을 다른 프로세스와 공유
      3. 소켓 : 클라이언트와 서버 프로세스 둘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함
      4. 세마포어 : 프로세스 사이의 동기를 맞추는 기능을 제공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5과목 요약  (0) 2022.05.01
정보처리기사 실기 3과목 요약  (0) 2022.05.01
정보처리기사 실기 2과목 요약  (0) 2022.05.01
정보처리기사 실기 1과목 요약  (0) 2022.05.01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정보처리기사 실기 5과목 요약
    • 정보처리기사 실기 3과목 요약
    • 정보처리기사 실기 2과목 요약
    • 정보처리기사 실기 1과목 요약
    하루루카
    하루루카

    티스토리툴바